Skip to main content
[요약]

  • 중국이 ’59년까지 배터리 원자재 원료인 리튬, 코발트, 니켈의 재활용만으로도 배터리 원자재 전체 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
  • 유럽 및 미국은 ’70년 이후가 돼야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
  • 유럽의 한 연구팀은 유럽, 미국, 중국 중 중국이 가장 먼저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그 시점을 경쟁국보다 약 10년 이상 빠른 ’59년으로 예상

  • 독일 뮌스터 대학(University of Münster) 연구팀은 유럽, 미국, 중국을 대상으로 배터리 원자재에 대한 수요를 재활용을 통해 완전히 충당할 수 있는 시기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
    • 연구팀이 분석한 배터리 원자재는 3대 배터리 원료로 꼽히는 리튬, 코발트, 니켈로, 해당 연구는 상기 3개 지역에서 배터리에 관한 완전한 순환경제, 즉 재활용 방식만으로도 전체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모델이 언제 발생할 수 있을 것인지 분석한 것이 그 핵심
      • 연구 결과 중국이 가장 먼저 순환경제를 달성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유럽과 미국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남
    • 연구팀은 중국이 ’59년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리튬, 코발트, 니켈 중 코발트에서 가장 먼저 순환경제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연구팀은 이 시점을 ‘45년으로 예상
      • 이후 ’46년 니켈이 순환경제에 도달하고 최종적으로 ‘59년에 리튬이 전체 수요를 재활용 리튬으로 충당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이때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가 완성되는 것으로 전망
  • 유럽은 중국보다 늦은 ’70년 이후에서야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에 도달할 것으로 나타남
    • 유럽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코발트에서 가장 먼저 순환경제가 나타나는 것으로 예상되었고 이 시점을 ‘52년으로 바라봄
    • 뒤이어 니켈이 ’58년에 순환경제에 도달하고, 리튬의 경우 ‘70년 이후까지도 재활용 방식으로써 수요를 완전히 충족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측
  • 미국 또한 유럽과 마찬가지로 ’70년 이후까지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를 달성하지는 못할 것으로 관측
    • 미국에서도 코발트가 맨 처음 순환경제에 도달하고(‘56년), 니켈이 그 뒤를 따를 것으로 예상(’64년)
    • 유럽과 동일하게 미국에서도 리튬은 ‘70년 이후까지 채굴을 통한 리튬이 재활용 리튬과 함께 전체 리튬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일부 사용될 것으로 전망
  • 연구팀은 향후 산업 환경 등에 따라 상기 주요 광물의 순환경제 발생 시점이 더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함께 제시
    • 연구팀은 특히 현재 EU에서처럼 자동차 산업에서의 전기차 전환 속도가 가속화될 경우 재활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배터리가 더 빨리 보급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가 각 광물의 순환경제 시기 단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
  • 한편, 중국은 리튬배터리 산업의 발전 수준이 높으며 폐배터리 회수 이용 기술 또한 앞선 것으로 평가
    • 중국의 리튬배터리 산업 발전에는 ▲중국 정부의 폐배터리 내 리튬, 코발트, 망간 등의 회수 독려 정책 시행 ▲회수된 금속의 가격 상승으로 인한 높은 경제적 가치 ▲완성차・배터리 제조기업과 폐배터리 회수 기업 간 순환생태계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

[시사점]

  • 독일 뮌스터 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따라 중국은 ‘59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배터리 원자재 광물의 채굴에서 독립하는 첫 번째 국가가 될 것으로 평가되며, 오로지 배터리 원료 재활용 및 회수만으로 전기차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임
  • 배터리 원자재의 재활용은 단순히 환경에 대한 부담 완화뿐만 아니라, 원자재 채굴 및 운송과 관련한 공급망 위험 및 불안정한 업무 환경 등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가 있어 정치 및 산업적 의미 또한 매우 높음

[출처]

  • 뉴스핌, 中, 2059년 폐배터리 리튬 회수로 전기차 배터리 수요 100% 충족, 2023.12.15.
  • Science Daily, Study on battery recycling shows China is in first place, 2023.12.8.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