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미국 재무부는 이달 중 클린테크 기업과 관련된 IRA법의 세부 시행규칙을 발표할 예정이며, 결과에 따라 미국 투자를 선언했던 에너지 기업들의 향후 전략이 갈릴 전망
-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는 기업·단체들과 유럽연합(EU)처럼 초기 단계에서는 느슨한 잣대의 적용을 촉구하는 기업들 간의 로비전이 치열하게 전개
-
미국 정부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이하 IRA법) 세부 지침 발표를 앞두고, 수혜 대상이 될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한 치열한 로비전이 펼쳐지면서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이 촉각
- 미국 재무부는 이달 중 IRA법 관련 세부 시행규칙을 발표할 예정
-
- (현황) 미국 바이든 정부는 작년 8월 전기차용 배터리나 태양광·풍력 제품, 청정수소 등을 생산하는 클린테크 기업들이 북미 지역에서 생산설비에 투자하거나(투자세액 공제) 실제 생산할 경우(생산세액 공제) IRA법상의 혜택 부여
- 청정수소 분야의 경우 ’32년까지 수소의 탄소집약도에 따라 생산기업에 1㎏당 최대 3달러까지 세액 공제 혜택을 부여하기로 하였고, 에너지 업계는 IRA법 덕분에 미국의 수소 생산단가를 1㎏당 1.5달러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추산
- IRA법 발표 이후,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수소 생산지로 각광 받음에 따라, 북미 대륙으로 향하는 청정수소 프로젝트가 봇물
- 시장조사기관 ‘리스타트 에너지’에 따르면, IRA법 발표 이후 청정수소 투자가 53% 가량 늘어 ’30년까지 11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였고, 맥킨지는 지난 5월 ‘유럽이 청정수소 관련 전 세계 투자액의 35%를 차지하고 있지만, 미국은 IRA법 혜택으로 세계 투자액의 15%까지 증가하여 단숨에 2위에 등극했다’고 발표
- (현황) 미국 바이든 정부는 작년 8월 전기차용 배터리나 태양광·풍력 제품, 청정수소 등을 생산하는 클린테크 기업들이 북미 지역에서 생산설비에 투자하거나(투자세액 공제) 실제 생산할 경우(생산세액 공제) IRA법상의 혜택 부여
< IRA법 혜택에 따라 급증이 예상되는 미국 청정수소 생산량 >

-
- (변수)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해 미국 정부와 관련 업계 간 ‘동상이몽’이 계속되면서, 곧 확정될 IRA법 세부 지침에 따라 미국행을 택했던 에너지 기업들의 명운이 갈릴 전망
- 청정수소 생산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깨끗한 전기를 사용해 수전해 설비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이 필요
- 환경단체와 덴마크 ‘베스타스’ 등 일부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은 원래의 청정수소 의미에 맞도록 친환경 전기로 만들어진 수소에만 세액 공제 혜택이 주어져야 한다는 입장
- 반면 수소기업 ‘플러그파워’ 등 일각에선 신재생에너지는 태양열이 약하거나 바람이 불지 않는 시간대에 전력이 만들어지지 않고, 햇빛이 세거나 바람이 강할 때는 생산 전력이 남아도는 등 간헐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월별 단위’, ‘연간 단위’로 증명 기간을 늘려줄 것을 요구
- ※ 증명 기간 확대를 통해 낮 시간대에 잉여 전력을 저장해뒀다가 저녁시간에 활용하거나, 저녁시간에는 화석연료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하는 대신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하는 방식 등으로 보완하는 절충안 채택을 주장
- (변수)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해 미국 정부와 관련 업계 간 ‘동상이몽’이 계속되면서, 곧 확정될 IRA법 세부 지침에 따라 미국행을 택했던 에너지 기업들의 명운이 갈릴 전망
- 향후 정해지는 세부 지침에 따라 기업들이 미국 투자에 가속도를 붙일 것인지, 아니면 유럽으로 투자의 방향을 바꿀 것인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
-
- (업계 반응) S&P Global Commodity Insights의 수소생산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발표된 115개 수소 프로젝트 중 실제 투자가 결정된 프로젝트는 11개로, 정부의 세부 지침 관련 정책 논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기인
- ‘플러그파워’ 대표 앤디 마쉬는 청정수소 인정 범위에 관한 세부 규칙이 엄격할 경우 ’35년까지 예정돼 있는 투자 규모가 2/3로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
- 미국 최대 신재생에너지기업인 ‘넥스트에라’는 재무부가 느슨한 기준을 채택할 경우 ’25년까지 700억 달러 규모의 친환경 수소 시장 형성이 가능하다고 예상하며, ‘넥스트에라’도 세부 지침에 따라 미국에 200억 달러의 투자를 예상
- 글로벌 화석연료 기업 BP와 셸, 엑슨모빌, 셰브런 등이 속한 ‘청정수소 미래연합’ 회장은 “시간 단위로 청정전기 사용을 요구하는 것은 미국에서 수소 산업이 제대로 싹트기도 전에 매장시켜버리는 꼴”이라고 우려
- 이에 미국청정전력협회(ACPA)는 유럽연합(EU) 방식처럼 초기 시장형성 단계에는 느슨한 잣대를 적용할 것을 촉구
- (업계 반응) S&P Global Commodity Insights의 수소생산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발표된 115개 수소 프로젝트 중 실제 투자가 결정된 프로젝트는 11개로, 정부의 세부 지침 관련 정책 논쟁으로 인한 불확실성에 기인
[시사점]
- 미국 정부의 클린테크 기업들에 대한 IRA법 혜택 발표에 따라, 에너지 업계는 미국의 수소 생산단가를 1㎏당 1.5달러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
- 하지만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해 미국 정부와 관련 업계 간 ‘동상이몽’으로, 실제 투자는 지연되고, 곧 확정될 IRA법 세부 지침에 따라 미국행을 택했던 에너지 기업들이 유럽으로의 투자 선회와 미국 내 추가 투자로 갈릴 전망
- 환경단체와 덴마크 ‘베스타스’ 등 일부 기업들은 친환경 전기로 만들어진 청정수소에만 공제 혜택을 줄 것을 주장하고 있지만, ‘플러그파워’나 ‘넥스트에라’ 등은 EU 방식처럼 초기 시장형성 단계에서는 느슨한 적용을 요구
[출처]
- 한국경제, “투자 중단” 위협까지 나왔다…美 IRA 세부 규칙 발표 ‘폭풍전야’, 202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