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요약]

  • 2023년 전 세계 발전량의 92%를 차지하고 있는 80개국의 발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력발전 14.3%, 태양광 및 풍력 발전 13.4%, 기타 청정 발전 2.7%로 재생에너지 발전이 30.4%를 차지
  • 주요 외신은 엠버(Ember, 영국의 기후 에너지 싱크탱크)의 보고서를 인용하여, 세계 전기 생산에서 수력과 태양광, 풍력 등 청정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30%를 넘어섰다고 보도
  • 엠버가 발간한 ’23년 全 세계 전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전력 생산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지속 증가 中
    • 엠버의 보고서는 ’23년 全 세계 전력 수요는 평균 2.5% 증가했고, 전체 전력 생산량 중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3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남
      • 풍력과 태양광의 크게 성장하였으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30% 이상인 국가가 102개국이었고, 50%를 초과한 국가는 69개국으로 나타남
      • 원자력을 포함하면 전 세계 전력의 39.4%가 저탄소 에너지원을 사용
    • 국제에너지기구(IEA)도 ’23년 조사를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약 507GW 성장하였으며 이는 ’22년 대비 50% 성장한 수치라 밝힘
      • 주요 성장은 풍력(107GW 증가)과 태양광(440GW 증가) 발전인 것으로 나타남
    • 엠버는 ’23년이 화석연료 발전이 감소하는 첫 번째 해가 될 것이라 평가하였으며, 국제에너지기구는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 ’28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이 지속 성장할 것이라 예상
  • ’23년 재생에너지 발전량에서 중국과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상회, 특히 중국은 태양광 발전에서 400GW 수준의 독보적인 발전량을 보이고 있음
    • (중국)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비중은 ’28년에 약 60%까지 증가할 전망
      •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중국의 풍력 및 태양광 발전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와 보급이 재생에너지 발전을 견인
      • ’28년에는 중국 내 전력 수요의 약 절반이 재생에너지 발전만으로 충족될 것으로 추정
    • (미국)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도입 속도를 올리고 있으며, 특히 소규모 태양광 시스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EU)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에 대한 집중투자를 계속하고 있으며, 소규모 태양광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대한민국) 한국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22년 기준 8.9%로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으로 ’30년까지 21.6%로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고 K-RE100 이니셔티브*를 펼치는 등 정책적 노력을 계속 중
      * K-RE100 : 기업과 일반 소비자가 100% 재생 가능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증서(REC)’와 그린 프리미엄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

<2023년 주요국과 대한민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현황>

국가 재생에너지 발전량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
풍력 태양광
중국 1,100GW 300GW 400GW 30%
미국 300GW 140GW 130GW 20%
EU 450GW 200GW 150GW 38%
대한민국 23GW 1.6GW 20GW 9%
자료 : IEA(2024), ITA(2023)

[시사점]

  • 재생에너지 발전에 있어서 중국과 태양광의 약진이 돋보임에 따라, 경제적인 관점에서 관련 기술 및 산업 경쟁력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대한민국의 경우 높은 수준의 태양광 발전 기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발전 현황을 보면 주요국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어 탄소중립 등 친환경 국제 질서에 동참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

[출처]

  • 뉴시스, 재생에너지 발전량, 세계 전기생산 비중 30%선 넘어…”획기적”, 2024. 5. 8.
  • Ember(2024), Global Electricity Review 2024
  • IEA(2024), IEA Reneables 2023
  • ITA(2023). South Korea – Country Commercial Guide (Energy- Carbon Neutrality Initiative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