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미국) 바이든 행정부, 고혼합 바이오연료에 4억5000만 달러 지출

미국 농무부는 운송연료에 더 많은 양의 바이오연료를 혼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4억 5천만 달러를 지출할 것으로 발표
REUTERS | 2023년 6월 26일

01

(카자흐스탄) Atyrau 가스화학단지에서 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

“Atyrau”에 있는 “Kazakhstan Petrochemical Industries Inc” 통합 가스-화학 단지가 수리를 위해 7/25일까지 가동중단
Kazinform | 2023년 6월 27일

02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중국과 협력하여 혈액제제 생산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Urgut” 지역에 중국 “Xindeyuan Bioengineering”사가 2.5억 달러를 투자하여 15헥타르 면적에 67종의 혈액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설립하기로 합의
Sputunik News | 2023년 6월 29일

03

(국내) ‘50억 달러’ 아미랄 석유화학 프로젝트 수주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지역의 석유 화학 플랜트 건설사업인 ‘아미랄 프로젝트’에 현대건설이 50억 달러에 달하는 규모의 프로젝트 사업을 수주하여, 계약을 체결
국토교통부 | 2023년 6월 25일

04

(국내) 제2회 국가전략기술(수소 분야) 토론회(포럼)’을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 29일(목) 수소분야의 연구자,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우리나라 수소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출연연의 역할과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제2회 국가전략기술 토론회’를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023년 6월 29일

05

(국내) ‘100만 명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00만 명 규모의 임상정보, 유전체 등 오믹스 데이터, 공공데이터, 개인보유건강정보를 통합하여 구축·개방하는 ‘국가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이 2024년부터 본격 추진
보건복지부 | 2023년 6월 29일

06

(국내) 탄소흡수능력 측정 고도화 기술개발 착수

올해부터 5년간 탄소흡수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생태계 유형별 탄소흡수 평가 고도화 기술개발(2023~2027)’을 본격 추진
환경부 | 2023년 6월 28일

07

(국내) 이차전지 양극재 분석 표준화로 K-배터리 글로벌 경쟁력 강화

리튬이차전지 양극재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방법이 국내 최초로 개발되어, ‘리튬 이차전지 양극재의 화학 분석 방법’에 대한 국가표준’을 6월 29일자로 제정·고시
산업통상자원부 | 2023년 6월 28일

08

(국내) 녹색융합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환경부는 ‘제1차 녹색융합클러스터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하여 6월 30일 공개하고, 이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산업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녹색산업 및 연관산업의 융복합을 촉진하기 위한 실증처를 발굴하고, 연계하는 등 클러스터 지원체계를 구축
환경부 | 2023년 6월 29일

09

(국내) 국내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상용화 첫걸음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는 6.28(수) 민관합동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 제3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실증연구 추진계획을 확정
산업통상자원부 | 2023년 6월 28일

10

(국내) 식약처, 신기술 적용 바이오의약품 개발 지원을 위한 선제적 규제 마련

식약처는 최근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개발이 늘어나는 상황을 고려하여 품목분류 등 선제적으로 규제지원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분류 및 제품화 지원 등에 관한 규정」(식약처 예규)을 6월 30일 제정·시행
식품의약품안전처 | 2023년 6월 30일

11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