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BASF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 소재의 생산부터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전 주기에 걸쳐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역량 강화를 추진
- 이는 EU의 배터리 생태계 강화 일환으로 진행된 지원정책의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이를 통해 EU의 배터리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전략적 부문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며 녹색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이 가능
-
글로벌 화학 기업 BASF가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각광받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역량 강화를 추진
- BASF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역량 강화를 위해 소재의 생산부터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전 주기에 걸쳐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
-
- (양극재 생산시설 가동) BASF는 독일 최초로 배터리 양극재를 생산하고 재활용하는 복합 공장*의 시운전을 시작
- * 연간 15,000톤 규모의 배터리 생산 및 폐기물(스크랩) 처리 능력 보유
- 독일 슈바르츠하이데(Schwarzheide)에 위치한 이 공장은 독일 최초의 리튬 이온 양극활물질 (Cathode Active Materials) 생산시설이자, 유럽 최초의 자동화된 대규모 복합 배터리 양극재 생산시설
- 또한 재활용 시설에서는 2024년부터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와 배터리 생산 공정에서 발생한 스크랩을 배터리용 고가 소재인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함유한 블랙매스*로 처리할 예정
- * 배터리를 만들 때 잘못 만들어진 배터리 스크랩과 이미 사용한 폐배터리를 수거하여 분쇄한 검은색 가루
- 슈바르츠하이데는 전기차 제조업체와 배터리 셀 생산업체가 밀집하여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이상적인 지역으로, BASF는 해당 공장을 양극활물질 생산과 재활용을 위한 허브로 강화할 방침
- (양극재 생산시설 가동) BASF는 독일 최초로 배터리 양극재를 생산하고 재활용하는 복합 공장*의 시운전을 시작
-
- (BASF의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 블랙매스 생산은 배터리 재활용의 첫 단계로, 향후 운영될 습식 제련소(hydrometallurgical refinery)에서 이를 원료로 사용해 배터리 재활용 밸류체인을 구축할 예정
- 동 공장은 전체적인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첫 단계이며, 이를 통해 배터리 생산에서 재활용까지의 엔드투엔드(end-to-end)* 재활용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탄소 발자국 감축에 기여
- * 모든 공급망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거시적인 관점에서 전체 공급망을 파악하고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제공하고 물류 이동을 최소화
- 또한 수명이 다한 배터리에서 새 배터리 생산을 위한 양극활물질 제조까지의 최적화된 순환형 사이클을 구축함으로써 전체적인 배터리 생산 체계 안에서 원자재 채굴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 순환경제를 달성
- 배터리 재활용은 전기차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노력인 동시에 EU 배터리 규제안(EU Battery Regulation)에 따라 예상되는 순환중심의 정책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중요한 수단
- (BASF의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 블랙매스 생산은 배터리 재활용의 첫 단계로, 향후 운영될 습식 제련소(hydrometallurgical refinery)에서 이를 원료로 사용해 배터리 재활용 밸류체인을 구축할 예정
-
- (EU의 배터리 생태계 강화) EU는 ‘유럽 배터리 연합(European Battery Alliance, EBA)’을 설립하고, 지금까지 1,800억 유로 이상의 민간투자를 유치
- 그러나 세금공제 혜택 등에 따른 기업들의 미국 진출로 인해 유럽 배터리 생태계로부터의 투자 유출이 우려됨에 따라 EBA는 EU 차원에서 더 많은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
- 이러한 측면에서 고급 양극활물질과 재활용에 초점을 둔 이 공장은 EU의 경쟁력을 높이고 전략적 부문의 대외 의존도를 낮추며 녹색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는 좋은 사례
- (EU의 배터리 생태계 강화) EU는 ‘유럽 배터리 연합(European Battery Alliance, EBA)’을 설립하고, 지금까지 1,800억 유로 이상의 민간투자를 유치
[시사점]
- BASF는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소재의 생산부터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전 주기에 걸쳐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역량 강화를 추진
- 이러한 움직임은 코로나19 이후 공업생산력이 뒷받침 되는 선진국들이 핵심 산업들을 자국 내에 유치하고 강화하려는 현상의 일환이며, 이는 EU 내 배터리 밸류체인 구축의 대표적인 사례
- 동 사례와 같은 글로벌 밸류체인 재편으로 인해, 그동안 우리나라가 누려왔던 자유무역 기조의 혜택이 줄어들고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출처]
- Energy Storage News, BASF starts commissioning cathode plant in Germany with recycling facility coming in 2024, 2023.7.3.
- 바스프코리아, 바스프, 글로벌 전기차 수요 맞춰 배터리 투자 가속화, 202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