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IST 명재욱 건설 및 환경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클라라 산타토 캐나다 몬트리올공과대 교수 연구팀은 대부분 생분해되는 ‘세피아 멜라닌’ 소재 기반 전기 활성 필름을 개발
- 갑오징어에서 추출 가능한 세피아 멜라닌을 이용해 개발한 필름은 퇴비화 조건에서 분해를 시작해 85일 만에 약 97%가 생분해되며, 0-4S/cm의 전기전도도를 가져 환경 센서, 생체 디바이스, 일회용 전자제품 등 응용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대안
- 명재욱 교수는 “세피아 멜라닌, 셸락과 같은 널리 쓰이지 않는 바이오 기반 물질을 활용해 완전히 생분해되는 전기활성 필름을 구현한 최초 사례”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전자 디바이스 구현을 위한 여러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피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