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요약]

  • 연구진은 충전 속도가 향상된 음극소재와 고용량 양극 소재를 조합하여 양극 간의 에너지 저장속도 특성차이를 최소화하고 용량 균형을 최적화한 소듐 이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
  • 현 세대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한계를 돌파하는 새로운 기술로 기대되며, 향후 EV를 포함한 전자기기 전반에 활용 될 수 있음
  • KAIST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 연구팀은 우수한 성능의 급속 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고출력 하이브리드 소듐 이온 전지를 개발
  • 소듐 이온 전지는 리튬(Li)보다 매장량이 500배 많은 소듐(Na)을 양극재로 활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연구진은 서로 다른 금속-유기 골격체를 활용하여 최적의 전극 소재 합성법을 활용해 소듐 이온전지의 한계를 극복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
    • 소듐 이온 전지(Sodium-ion battery)는 리튬 이온 전지(Li-ion battery)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 중인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
      • 소듐 이온이 주목받는 이유는 리튬 이온과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해수에 녹아 있어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으로 지표 매장량 또한 리튬(0.005%) 대비 500배 이상(2.6%)인 것으로 나타남
      • EV의 등장으로 인해 리튬 이온 전지 수요가 증가하며 리튬 가격이 3배 이상 급증(’19년)함에 따라 리튬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낮은 충·방전 효율이 한계로 지적되어 왔음
      • ’19년 6월 KAIST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연구팀은 황화구리를 음극재료로 사용해 용량과 수명이 늘어난 소듐 이온 전지를 개발하여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논문으로 게재한 사례가 있음*
        * 흑연 음극재 이론 용량 대비 약 17% 높은 436mAh/g의 저장용량을 가지며 2천회 이상 충·방전에도 93%의 저장용량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
    • 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소듐 이온 전지는 서로 다른 금속-유기 골격체를 활용해 하이브리드 전지에 최적화된 전극 소재 합성법을 활용 기존 리튬이온전지를 뛰어넘는 에너지밀도와 출력 밀도를 갖춤
      • (음극소재) 금속-유기 골격체에서 기인한 다공성 탄소 소재에 미세한 활물질을 함유해 속도 특성이 향상 됨
      • (양극소재) 이온 확산 채널을 극대화해 저장 용량이 높은 축전지용 양극소재 개발
      • 새롭게 개발한 소재를 조합하여 양극 간의 에너지 저장 속도 특성 차이를 최소화하면서도 용량 균형을 최적화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발
  •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하이브리드 소듐 이온 에너지 저장 소자가 전극 기준 247Wh/kg의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34,748W/kg의 고출력 밀도에 의한 급속 충전이 가능하다고 밝힘
    • 기존 리튬 이온전지와 비교했을 때 더 높은 에너지밀도와 축전기 출력 밀도 특성을 통해 수 초 ~ 수 분 만에 충전 가능
      • 기존 리튬 기반의 에너지 저장시스템과 소듐 이온 전지의 한계를 극복하여 전기차를 포함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하여 혁신적인 성과를 가져올 기술로 전망됨
      • 해당 기술에 대한 논문은 에너지 저장 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스에 ’24년 3월 게재

[시사점]

  • 리튬 가격이 안정화하면서 소듐(나트륨)을 활용한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식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이차전지 소재 시장에서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미국EU가 관심을 보이면서 이번 하이브리드 소듐 이온 전지 기술은 상업적 가치또한 매우 클 것으로 예상 됨
  • 우리 정부에서도 차세대 전지(LFP, 소듐, 레독스 등)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추진하고 있어 빠른 사용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전망

[출처]

  • 디지털타임즈, 몇 초면 충전 ‘끝’… 하이브리드 소듐이온전지 상용화 ‘청사진’, 24.4.11.
  • 동아사이언스, 하이브리드 소듐 전지 개발… “수 초 만에 급속 충전”, 24.4.11.
  • SNE Research, 나트륨이온배터리 이차전지 시장 침투 시작, 2023년 시장규모 연간 최대 19조원, 24.1.24.
  • 헬로디디, 이차전지 음극재로 ‘항화구리’… 저장, 충·방전 안정적, 2019.6.30.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