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KAIST 최민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충남대 신혜영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은 폐플라스틱 분해·재활용 공정 중 중요 반응인 ‘탈염소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적은 백금으로도 염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

  • 연구팀이 개발한 촉매는 다량의 염소를 포함한 해양 폐기물 기반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에서도 염소를 98% 이상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높은 안정성을 보임
  • 최민기 교수는 “탈염소 반응은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매우 중요한 반응이지만 심도 있게 연구되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는 세계 최초로 탈염소 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한 것으로 고성능 탈염소 촉매 개발을 앞당기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

Leave a Reply